[ODOP:20]OSI 7 Layer
OSI 7 Layer 를 설명하고 있습니다. 다만, 6, 5 layer 는 설명하고 있지 않습니다
💡
OSI 모형(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)
국제 표준화 기구(ISO) 에서 개발한 모델로,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 한 것이다.
국제 표준화 기구(ISO) 에서 개발한 모델로,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 한 것이다.
![OSI 7 Layer(출처 : https://shlee0882.tistory.com/110)](https://blog.pollra.com/content/images/2024/08/-E1-84-89-E1-85-B3-E1-84-8F-E1-85-B3-E1-84-85-E1-85-B5-E1-86-AB-E1-84-89-E1-85-A3-E1-86-BA_2024-08-18_-E1-84-8B-E1-85-A9-E1-84-92-E1-85-AE_1.31.44.png)
OSI 7 Layer(출처 : https://shlee0882.tistory.com/110)
- 위로 갈 수록 Application 에 가까워 진다
- 아래로 내려갈 수록 물리적 케이블에 가까워진다
- 패킷 전송 시
7
→~
→1
→~
→7
순으로 전송된다
Application Layer(7 Layer)
Data
+HTTP Header
- 사용자가 UI 로 접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 된 계층이다
- 통신의 양 끝 단 은 특정 프로토콜로 소통한다
- HTTP
- FTP
- SMTP
- POP3
- IMAP
- Telnet
Transport Layer(4 Layer)
Data
+HTTP Header
+TCP Header
- 송신자와 수신자의 논리적 연결(Connection)을 담당한다
- 연결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
- 마찬가지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
- TCP
- UDP
Network Layer(3 Layer)
Data
+HTTP Header
+TCP Header
+IP Header
- IP(Internet Protocol) 이 활용되는 부분
- Endpoint 가 다른 Endpoint 로 가고자 할 경우 경로와 목적지를 찾는다
DataLink Layer(2 Layer)
Data
+HTTP Header
+TCP Header
+IP Header
+Ethernetframe Header
- 같은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는 단만들에 대해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한다
- MAC address 를 활용하여 같은 구간 내의 Endpoint 혹은 Switching 장비에 전달한다
- 1 Layer 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에 생길 수 있는 오류를 찾아낸다
Physical Layer(1 Layer)
- 케이블과 같은 물리적 전기 신호가 전송되는 구간